챗지피티 프롬프트로 지브리 스타일, 픽사 스타일 이미지 생성 방법

최근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이 이슈가 되고 있더군요. 사실 생성형 AI 초기에는 openai의 DALL-E (달리)의 이미지 생성이 크게 이슈가 되기도 했었어요. 오늘은 달라진 ChatGPT의 이미지 생성을 위해 챗지피티 프롬프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챗지피티 프롬프트로 스타일별 이미지 생성하기

얼마 전까지만 해도 스테이블 디퓨전이나 미드저니(Midjourney) 같은 전문적인 이미지 생성 도구들에 비해 openai의 이미지 생성 능력은 좀 많이, 아니 아주 많이 모자랐어요. 결과도 너무 스타일이 비슷했고요. 더욱이 되는 것보다 안되는 게 더 많았죠. 특히 특정 인물이나 특정 스타일은 특히 생성이 금지됐었어요.

하지만, 이번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 소식을 듣고 확인한 결과 정말 많이 달라졌더군요. 그럼 이제 이미지 생성을 위한 챗지피티 프롬프트 작성 방법부터 생성된 결과 이미지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미지 생성을 위한 챗지피티 프롬프트 작성법

요즘 AI 이미지 생성 도구를 활용해 예술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단순한 이미지가 아닌 특정한 스타일의 결과물을 원할 때는 생성형 인공지능에게 지시하는 형식인 프롬프트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이 부분이 이번 챗지피티의 가장 큰 변화였다고 생각하는데, 예전에도 챗지피티 프롬프트 형식이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프롬프트의 형식에 그다지 엄격하지는 않았어요. 예를 들면 정확하게 어떤 스타일 어떤 색상, 어떤 모양을 지시해도 챗지피티는 전체 맥락을 뭉퉁그려 그려내는 모양이었어요. 내 요구 사항을 정확하게 세심하게 반영해 주지는 않았죠.

하지만, 이번 변화의 가장 큰 요소는 챗지피티 프롬프트에 스타일이 반영 됐다는 거에요. 뿐만 아니라 인물도 반영됐어요.

미드저니와 같은 전문적인 이미지 생성 도구의 경우 스타일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으면 좀 평범하거나 내 의도와는 좀 다른, 어떨 때는 너무나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도심을 걷는 남자”라고만 하면 현재의 서울 거리 같은 실사부터 만화 스타일, 픽셀아트 스타일까지 다양하게 해석될 수가 있어요. 때문에 스타일을 지정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에요.

그럼 이제 지브리 애니메이션, 팍사 스타일, 시네마틱 영화 처럼 강한 개성을 가진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들고자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챗지피티 프롬프트를 구성해야 하는지를 실제 예시와 함께 살펴보죠.

기본 프롬프트 구조

[무엇] + [스타일/분위기] + [구도/구성] + [조명/배경] + [기술적 세부사항]

이 구조가 챗지피티 이미지 생성을 위한 기본 구조라고 보면 될거에요.

이러한 기본 구조에서 스타일별 프롬프트 포멧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을 것 같습니다.

스타일 프롬프트 예시
리얼리즘 (사진처럼) a cat sitting on a wooden bench, realistic style, soft natural light, DSLR photo
애니메이션 스타일 a girl walking through a cherry blossom path, anime style, pastel color palette, bright spring day
픽사 스타일 a young boy with big eyes and exaggerated features, Pixar-style 3D rendering, cinematic lighting
사이버펑크 a futuristic city at night, cyberpunk style, neon lights, rainy street, wide-angle shot
고흐 풍 (유화) a field of sunflowers, in the style of Vincent van Gogh, thick brush strokes, oil painting texture

위 예시를 보면 잘 알수 있듯이 프롬프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있죠. 결국 이러한 키워드가 내가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더욱 가깝게 인공지능에게 직접 지시하는 키워드라 할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죠.

요소 키워드 예시
스타일 realistic, anime-style, oil painting, sketch, 3D render, pixel art
구도 close-up, wide shot, bird’s-eye view, portrait, cinematic frame
분위기/감정 serene, dark and moody, playful, epic, mysterious
조명 soft light, backlit, dramatic shadows, sunset glow, studio lighting
배경 foggy forest, futuristic cityscape, desert, minimalist white background

이 정도면 어느 정도 챗지피티를 이용해서 이미지 생성하는 프롬프트 구조는 정리됐다 생각해요. 그런데, 프롬프트든 키워드든 모두 영어로 작성됐죠. 물론 한글로 작성해도 어느정도 지시에 맞게 이미지를 생성하기도 해요. 하지만 왠지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에요.

뭐, 이 부분에 대해 어쩌고 저쩌고 말들이 많지만 가장 중요한 원인은 순수한 한국어 인공지능 언어 모델이 없다는 것과 그것에 기초해서 개발된 이미지 생성 도구가 없다는 것이 보다 정확한 이유일 거예요. 당분간은 어쩔 수 없는 거죠. 정부가 정신 차리고 과학 기술 분야 예산과 정책을 재정립하기 전까지, 그리고 무엇보다 정부 관료들의 기본 상식이 변하기 전까진 우린 그냥 영어로 프롬프트 작성한다 생각하는게 맘 편할 거예요.

임산부가 10명이면 아이가 한달만에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수준이니…

스타일별 프롬프트 예시

자, 이제 실제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챗지피티가 생성하는 이미지 결과를 확인해 볼게요.

1.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

지브리 스타일은 감성적인 색감과 부드러운 수채화 느낌, 풍성한 자연 묘사로 잘 알려져 있죠. 고양이 캐릭터를 그려볼게요.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했어요.

a curious cat with a small red ribbon exploring a magical forest, in Ghibli anime style, hand-drawn look, soft shading, lush greenery, glowing light particles in the air

디테일한 묘사를 아주 간략하게 나열하면서 표현했어요. 결과를 볼게요.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 예시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 – 챗지피티 프롬프트 예시

2. 픽사 스타일 이미지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픽사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해 볼게요.

a cheerful young boy with oversized eyes and rounded features, Pixar-style 3D character, colorful clothes, bright and playful mood, cinematic lighting, soft shadows

챗지피티 픽사 스타일 예시
챗지피티 픽사 스타일 – 챗지피티 프롬프트 예시

3. 챗지피티 스네마틱 스타일

a Roman general standing in the battlefield with a stern look, in Gladiator movie style, cinematic lighting, dusty atmosphere, golden hour, epic mood, shallow depth of field, leather armor details

챗지피티 스네마틱 스타일
챗지피티 스네마틱 스타일 – 챗지피티 프롬프트 예시

영화 “글래디에이터”라고 하면 당연히 주인공이 떠오르죠. 저는 개인적으로 이 부분이 예전 달리와 가능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실존 인물이 직접 표현됐다는 거죠. 그것도 거의 정확하게. 예전 달리는 이 부분이 금지되어 있었어요. 때문에 영화 “글래디에이터”를 표현하라고 지시해도 전혀 엉뚱한 인물이 등장하죠. 때문에 뭐랄까 너무 심리적 감성적 거리감이 있었어요.


오늘은 오랜만에 챗지피티 이미지 생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아래는 이전에 작성했던 미드저니 사용 방법에 대한 글이에요.


최근 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