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Piece 토크나이저 정의와 HF 래핑 – 나만의 모델 만들기 #3
오늘은 오랜만에 다시 “나만의 한국어 AI 만들기”의 3번째 이야기로 SentencePiece 토크나이저를 정의하고 Hugging face 라이브러리로 wrapping하는 방법까지 살펴 보겠습니다. 나만의 AI 만들기 프로젝트는 지난 7월 초에 시작했어요. 오늘이 9월 3일인데, …
오늘은 오랜만에 다시 “나만의 한국어 AI 만들기”의 3번째 이야기로 SentencePiece 토크나이저를 정의하고 Hugging face 라이브러리로 wrapping하는 방법까지 살펴 보겠습니다. 나만의 AI 만들기 프로젝트는 지난 7월 초에 시작했어요. 오늘이 9월 3일인데, …
오늘은 나만의 한국어 AI 모델 만들기의 첫 번째 이야기로 자연어 처리의 기본이 되는 토크나이저(tokenizer)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영어를 기본으로 다루는 BPE와 보다 더 다양한 언어에 적합한 sentenepiece에 대해 정리해 보려 …
지난 글에서는 한국어 AI를 구축하기 위해서, HyperCLOVA의 토크나이저를 GPT-2 Medium 모델에 이식하는 과정을 정리해 봤어요. 한국어에 특화된 토크나이저를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문장 구성에 대한 학습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였죠. 오늘은 그 실험 …
그동안 대형 언어 모델, Tokenizer는 물론, AI (인공지능) 기술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야기를 해 왔습니다. 이제부터는 지금까지 다뤄본 기술들을 기반으로 실제 나만의 생성형 AI 모델을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개인 프로젝트다 보니 …